

정시 VS 편입 지원자격 (공부범위)
정시
인서울권 (중하위)
- 평균 2등급
편입
편입영어, 편입수학, 공인영어 등
- 토익기준 800~950 점
정시의 경우 문과, 이과에 따라 다르지만
인서울을 준비한다면 과목별 평균 2등급은
나와야 지원을 해볼 수 있습니다.
편입의 경우 국영수등의 과목을 공부하지 않으며
편입영어 · 편입수학 · 공인영어를 선택하여
각 학교에 맞춰서 하나에 집중 할 수 있습니다.
정시 VS 편입 원서접수
정시
3번
(가,나,다 각 군별 1개)
편입
제한없음
(무제한 원서접수 가능)
정시는 각 군별1개씩 총 3개의 원서접수가
가능하며 인서울권의 경우 상향지원이
의미가 없는 상황 입니다.
편입은 원서접수의 제한이 따로 없습니다.
지원하여 합격한 대학교를 직접 선택하여
입학을 하는 형태로 진행 됩니다.
정시 VS 편입 입학
정시
1 학년 입학
편입
3 학년 입학
편입은 지원자격을 인정받아 3학년으로
편입학을 하게 되는 제도 입니다.
재수를 준비하다 편입으로 방향을 돌리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 입니다.
정시 VS 편입 경쟁
정시
인서울권은 상위권들의 경쟁
편입
편입은 중,하위권의 경쟁
편입은 보통 수능을 준비했다가 재수를 하다가
다른 돌파구를 찾다 진행을 하게 됩니다.
즉, 성적 상위권이 아닌 중하위권이 도전하기에
정시와 비교했을때 경쟁률이 상당히 낮습니다.

편입 Q n A
QnA _ 1
저는 학력조건이 안되는데 편입을 준비 할 수 있나요 ?
학력조건이 안된다면 편입에 지원 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정규대학을 졸업하지 않더라도 편입지원 자격을
국가제도를 통해서 빠르게 충족 시킬 수 있습니다.
QnA _ 2
수능보다 편입을 준비하는게 가능성이 높을까요 ?
확답을 드리긴 어렵습니다.
하지만, 수능으로 인서울권 지원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차라리 편입으로 지원을 하는게 가능성은 확실히
더 높다고 이야기 드릴 수 있습니다.
QnA _ 3
편입은 조금 생소한데 도전 해봐도 될까요 ?
편입은 많은 장점과 비교적 낮은 경쟁률이 장점 입니다.
실제로 고3 수험생들의 경우 편입의 개념을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고 보통 재수를 준비하다
편입을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등학교에서는 대학진학률 (정시,수시)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고등학교에서도 알려주지
않는 입시방법 입니다.
하지만, 공부의 범위가 좁고 집중을 해서 보통
영어성적만 확보가 된다면 인서울권도 합격도
결코 꿈이 아닙니다.
QnA _ 4
성공확률은 어떻게 될까요 ?
에듀리본을 통해서 진행을 했던 학생분의 이야기 입니다.
수능을 봤지만 원하는 대학에 모두 광탈하고
재수를 할지 편입을 할지 고민을 하던 학생분 입니다.
결국 1년만에 학점은행제 제도를 통하여 일반편입을
지원했고 인서울 대학에 원하는 학과로 편입학에
성공을 했습니다.
(실제 본인 또래가 2학년에 진학을 할 때
3학년으로 입학을 하게 됐습니다.)
과정이 결코 수월하다고 이야기 드릴 수는 없습니다.
결국에는 편입생들과의 경쟁에서 이겨야 합격을
할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 입니다.
하지만, 장점과 수능의 난이도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동일 노력대비 인서울권, 지거국 합격률이
더 높다고 이야기 드릴 수 있습니다.